카테고리 없음2013. 6. 20. 10:44

 

09-2. 네임 서버 설치 및 운영

Section 02. 네임 서버 구축 

 

 

이 절에서는 직접 네임 서버를 구축해서 운영하는 방법을 살펴보자.

 

 

| 도메인 이름 체계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를 구분하는 유일한 방법은 IP주소다.

따라서, 웹 브라우져로 웹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220.95.233.171 등과 같은 IP주소를

알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IP주소는 외우기에 너무 어려우므로, 각 컴퓨터의 IP에 대응하는 이름을 부여한다면

어려운 IP주소 대신에 외우기 쉬운 이름을 사용하면 될 것이다.

 

예를 들어 1.1.1.1은 john이라는 이름으로, 2.2.2.2는 bann이라는 이름으로 관리하면 앞으로 john이라는 컴퓨터를 찾아갈 때 자동으로 1.1.1.1이라고 알 수 있을 것이다.

(휴대폰에 전화번호를 저장한 후 전화번호를 외우지 않고 그 이름으로 전화를 거는 것과 같다)

 

그리고 한발 더 나아가서 IP주소와 이름을 관리하는 전용 컴퓨터가 있다면

우리는 "이름 관리 전용 컴퓨터"의 IP주소만 알고 있으면 나머지는 모르더라도 언제든지 "이름 관리 전용 컴퓨터"에 물어보면 될 것이다.

 

여기까지는 앞에서도 얘기한 부분과 중복이 된다.

 

 

이제 이 "이름 관리 전용 컴퓨터" (앞으로는 네임 서버라고 부르겠다)를 얘기해 보도록 하자.

 

초창기에는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가 그렇게 많지 않았지만 나중에 폭발적으로 확장되면서

컴퓨터들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났고 몇 대의 네임 서버로는 실시간으로 생겼다 없어지는

인터넷 상의 수많은 컴퓨터들을 도저히 관리할 수가 없게 되었다.

 

 

 

[도메인 이름 체계도]

 

그래서 위의 그림과 같은 트리 구조처럼 도메인 이름 체계를 고안하게 되었다.

Root(.) 네임 서버는 1단계인 네임 서버인

com 네임 서버, net 네임 서버, org 네임 서버만 관리하면 된다.

 

또, 1단계 네임 서버는 2단계 네임 서버들만 관리하면 된다.

예로 com 네임 서버는 redhat, paran, naver 등 2단계 도메인을 관리하는

네임 서버들만 관리하면 되는 것이다.

 

네이버(회사 이름)의 도메인 이름은 무엇인가?

보통은 'www.naver.com'이라고 대답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것은 틀린 말이다.

네이버의 도메인 이름은 'naver.com'이다.

'www.naver.com'은 'naver.com' 도메인에 속한 컴퓨터이다. (아마도 웹 서버 컴퓨터일 것이다)

 

 

 

| 로컬 네임 서버가 작동하는 순서



 [PC가 네임 서버를 통해 IP주소를 획득하는 흐름도]

 

① PC의 웹 브라우저 주소창에서 www.naver.com을 입력한다.

② PC가 Linux일 경우 /etc/resolv.conf를 열어서 "nameserver 네임 서버IP" 부분을 찾아

    로컬 네임 서버 컴퓨터를 알아낸다.

③ 로컬 네임 서버에 www.naver.com의 IP주소를 물어본다.

④ 로컬 네임 서버는 자신의 캐시DB를 검색하여 www.naver.com의 정보가 들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만약 정보가 있다면 바로 응답하지만 대개는 정보가 없다)

⑤ 로컬 네임 서버는 'Root 네임 서버'에 www.naver.com의 주소를 물어본다.

⑥ 'Root 네임 서버'도 www.naver.com 의 주소를 모르므로, 'com 네임 서버' 의 주소를

    알려주면서 'com 네임 서버'에 물어보라고 한다.

⑦ 'com 네임 서버'에 www.naver.com의 주소를 물어본다.

⑧ 'com 네임 서버'도 www.naver.com의 주소를 모르므로, 'naver.com'을 관리하는 네임 서버의

    주소를 알려주면서 'naver.com' 네임 버서에 물어보라고 한다.

⑨ 'naver.com 네임 서버'에 www.naver.com의 주소를 물어본다.

⑩ 'naver.com 네임 서버'는 파란에서 구축한 네임 서버이므로 ???.naver.com 이라는 이름을 가진

    컴퓨터의 목록은 모두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www.naver.com의 IP주소도 알고 있으므로,

    IP주소를 알려준다.

⑪ 로컬 네임 서버는 www.naver.com의 IP주소를 요구한 PC에 IP주소를 알려준다.

⑫ PC는 획득한 IP주소로 접속을 시도한다.

 

 

 

Posted by 아이맥스
카테고리 없음2013. 6. 20. 10:42



09-3. 네임 서버 설치 및 운영

      - 캐싱 전용 네임 서버구축 

 

 

| 캐싱 전용 네임 서버 

캐싱 전용 네임 서버(Caching-only Nameserver)란 PC에서 URL로 IP주소를 얻고자 할 때,

해당하는 URL의 IP주소를 알려주는 네임 서버를 말한다.

[캐싱 전용 네임 서버를 구현하기 위한 구성도]

 

이전 그림을 예로 들면 '로컬 네임 서버'라고 써 있는 컴퓨터가 캐싱 전용 네임 서버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번엔 바로 위의 그림을 보자. 여기서는 원래 Fedora Client와 Fedora Server(B)에 설정되어 있는

DNS 서버는 외부에서 운영되는 네임 서버인 192.168.100.2로 되어있다.

이제는 이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구축할 네임 서버(192.168.xxx.111)을 이용해서 인터넷을 사용해

보도록 하자.

 

 

 

[실습]

Fedora Server를 캐싱 전용 네임 서버로 만들고, Fedora Client와 Fedora Server(B)에서

직접 구축한 Fedora Server를 네임 서버로 사용하자.

 

 

1. [ Fedora Server ]

페도라에 포함된 네임 서버 패키지 이름은 'bind' 다. 그런데 페도라 11에 포함된 bind가

VMware와 약간의 네트워크 문제를 일으켜서 잘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있으니,

대신 페도라 코어 4에 포함된 bind를 사용하도록 하자.

(bind 패키지의 버전 차이는 크지 않아서 별반 다르지는 않다)

 

 

접속해서, 다음 5개 파일을 다운로드하자.
(그 외에 http://rpm.pbone.net이나 http://www.rpmfind.com을 통해 아래 파일 이름으로 검색해도 되며, http://brain.hanb.co.kr/fedora/에서 다운로드해도 된다)
 
bind-9.3.1-4.i386.rpm
bind-chroot-9.3.1-4.i386.rpm
bind-libs-9.3.1-4.i386.rpm
bind-utils-9.3.1-4.i386.rpm
openssl-0.9.7f-7.i386.rpm

[다운로드한 5개 파일 확인]
 
※ 캐싱 전용 네임 서버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페도라 코어 4의
'caching-nameserver-7.3-3.noarch.rpm' 패키지만 설치해도 된다.
하지만 우리는 다음 절에서 마스터 네임 서버도 설정해야 하므로 bind를 설치한 것이다.
bind 패키지에는 캐싱 전용 네임 서버의 기능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caching-nameserver 패키지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1-2 "rpm -Uvh --nodeps --force --nosignature bind*.rpm open*.rpm" 명령으로 강제 설치하자.
※ rpm 명령의 옵션 중에서 --nodeps는 의존성 문제를 무시하라는 의미이며,
--force는 기존 파일이 있어도 강제로 설치하라는 의미다.
또, --nosignature 옵션은 Key와 관련된 경고 메시지를 생략하기 위한 옵션인데,
그냥 경고를 보여주지만 않을 뿐이므로 이 옵션은 빼도 된다.
일반적으로 이 옵션들은 추후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나, 지금 우리는 페도라 11에 페도라 코어 4의 rpm 파일을
강제로 설치하기 위해서 사용한 것이다.
 
 
[rpm 파일 강제 설치]
 
 
1-3 그런데 페도라 코어 4의 openssl 때문에 페도라 11의
다른 프로그램(yum 등)이 작동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네임 서버를 위해 필요한 라이브러리인 '/lib/libcrypto.so.0.9.7f' 파일만 복사해 놓는다.
그리고
원래의 페도라 11의 openssl인 openssl-0.9.8k-1.fc11.i586.rpm을 다운로드하거나,
페도라 11 DVD에서 복사한 후에 다시 rpm으로 설치하자.
마지막으로, 복사해 놓았던 페도라 코어 4의 libcrypto.so.0.9.7f 파일을
/lib/ 디렉토리에 다시 복사해 놓으면 된다.
 
 
[페도라 11용 openssl 다시 설치]
 
이제는 정상적으로 네임 서버를 설정할 수 있다.
 
 
 
2. [ Fedora Server ]
네임 서버 데몬을 가동하자.
 
 
2-1 먼저 "system-config-firewall" 명령으로 '신뢰하는 서비스'에
DNS(네임 서버 : 53번 포트)를 체크한다.
 
 
[system-config-firewall로 53번 tcp 추가 결과]
 
 
2-2 터미널에서 "ifconfig eth0" 명령으로 Fedora Server의 IP를 확인해 둔다.
(192.168.xxx.111)
 
 
2-3 네임 서버 데몬(named)을 가동한다.
 
[네임 서버 데몬 시작]
 
 
2-4 우선은 Fedora Server 자신에서 네임 서버가 잘 작동하는지 확인해 보자.
 
# nslookup
> server                           ※ 현재 설정된 네임 서버 확인 (VMware가 제공하는 192.168.xxx.2가 나올 것임)
> server 192.168.xxx.111    ※ 네임 서버를 자기자신 (현재 Fedora Server임)이 구축한 것으로 설정함
> exit
 
[네임 서버 작동 확인]
 
해당 URL의 IP주소를 잘 응답한다. 즉, 캐싱 전용 네임 서버로 잘 작동하고 있다는 뜻이다.
 
 
 
 
3. [ Fedora Client ]
Fedora Server를 네임 서버로 사용해 보자.
 
 
3-1 nslookup 명령으로 Fedora Server에서 구축한 네임 서버가 잘 가동하는지 확인해 보자.
 
nslookup
> server <Fedora Server IP> ※ 네임 서버를 우리가 구축한 192.168.xxx.111으로 설정)
> exit
 
[외부에서 네임 서버 작동 확인]
 
 
3-2 네임 서버가 작동되는 것을 확인했으니, 네임 서버를 고정해서 지정하자.
gedit나 vi로 /etc/resolv.conf에 Fedora의 IP주소인 192.168.xxx.111로 변경한 후 저장하고 닫는다.
root 사용자로 수정해야 하므로 명령은 다음과 같이 한다.
 
$ su -c 'gedit /etc/resolv.conf'
 


[네임 서버 변경]
 
 
3-3 웹 브라우저로 아무 URL이나 가보자.
이제는 전의 '캐싱 전용 네임 서버를 구현하기 위한 구성도'의 그림과 같이
변경된 캐싱 전용 네임 서버를 이용해서 웹 서핑을 하고 있는 것이다.
 
 
[Fedora Server 캐싱 전용 네임 서버를 이용한 웹 서핑]
 
 
 
 
4. [ Fedora Server(B) ]
텍스트 모드에서 설정해보자.
 
 
4-1 root 사용자로 접속한다.
 
 
4-2 "vi /etc/resolv.conf" 파일을 열어서, "nameserver <Fedora Server IP주소>"를 적어 주자.
저장하고 vi를 종료한다. (사용법은 [a] -> 문서편집 -> [Esc] -> [:][w][q])
 
[/etc/resolv.conf 편집]
 
 
4-3 ping 명령으로 네임 서버가 잘 작동하는지 확인해 보자.
 
# ping -c 3 www.yahoo.co.kr
 
[ping 명령]
 
 
 
 
5. [ Fedora Server ]
 
네임 서버 관련 패키지를 설치한 상태를 스냅샷하자.
일부 PC에서 VMware와 네임 서버의 충돌로 컴퓨터를 재부팅할 때마다 네임 서버 데몬을
재가동해 줄 필요가 있다.
(이상이 없는 PC도 네임 서버를 재가동해도 별 문제는 없다)
 
 
5-1 root로 접속할 때마다 네임 서버가 가동되도록 "vi /root/.bash_profile" 명령을 실행해서
제일 아래 부분에 다음을 추가한다.
 
service named start
 


[/root/.bash_profile 파일에 추가]
 
 
5-2 "halt" 명령으로 Fedora Server를 종료한다.
 
 
5-3 VMware 메뉴의 [VM] -> [Snapshot] -> [Take Snapshot]을 선택해서,
현재 상태를 "네임 서버 설치"라는 이름으로 스냅샷하자.
이 스냅샷은 다음 실습 및 다음 장에서 다시 네임 서버 패키지를 설치하는 수고를 덜어 줄 것이다.
 
 
이제는 우리가 Fedora Server에 구현한 캐싱 전용 네임 서버가 정상 작동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캐싱 전용 네임 서버는 각 클라이언트가 문의하는 URL을
이 페이지 처음의 그림과 같이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Posted by 아이맥스
카테고리 없음2013. 6. 20. 10:40

09-4. 네임 서버 설치 및 운영

      - 마스터 네임 서버 구축

 

 

 

 

 

 

 

마스터 네임 서버(Master Nameserver)는 예로 john.com과 같은 도메인에 속해 있는 컴퓨터들의

이름을 관리하고 외부에서 ???.john.com 컴퓨터의 IP주소를 의뢰했을 때 해당 컴퓨터의 IP주소를

알려주는 역할을 하는 네임 서버를 말한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john.com의 도메인으로 인터넷 서비스를 하고자 한다면,

john.com 네임 서버를 구축해서 외부에서 www.john.com, ftp.john.com 등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아래의 그림과 같은 마스터 네임 서버를 구현해 보도록 하자.

[마스터 네임 서버 구성도]

 

위 그림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1. 우선 테스트를 위해서 Fedora Server(B)에 FTP 서버를 설치하고,

    Fedora Server에는 네임 서버웹 서버를 설치한다.

    그 후에, Fedora Server의 네임 서버 설정에서

      www.john.com은 Fedora Server의 IP주소인 192.168.xxx.111으로,

      ftp.john.com은 Fedora Server(B)의 IP주소인 192.168.xxx.112으로 설정한다.

 

 

2. 이렇게 구성이 완료되면, Fedora Client에서 www.naver.com의 접속을 시도할 경우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이 된다.

 

① 설정된 네임 서버인 192.168.xxx.111 www.naver.com의 IP주소를 의뢰한다.

 

② 192.168.xxx.111은 자신의 DB를 검색하여 www.naver.com이 있는지 확인한다.

    해당 내용이 없을 것이므로, 외부 인터넷으로 나가서 www.naver.com의 IP주소를 알아온다.

    (이 과정은 앞 절에서 자세히 설명했으므로 생략하겠다)

 

③ 알아온 www.naver.com의 IP주소를 Fedora Client에게 알려준다.

    (Fedora Server는 마치 자기가 원래 알고 있었던 척 한다)

 

 

3. 위 과정은 캐싱 전용 네임 서버와 큰 차이가 없다. 이번에는 Fedora Client에서 www.john.com

    접속을 시도할 경우를 보자.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이 된다.

 

① 설정된 네임 서버인 192.168.xxx.111에게 www.john.com의 IP주소를 의뢰한다.

 

② 192.168.xxx.111은 자신의 DB를 검색하고 www.john.com의 IP주소(192.168.xxx.111) 및

    ftp.john.com의 IP주소(192.168.xxx.112)는 자신이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외부 인터넷으로 나갈 필요 없이 바로 Fedora Client에게 해당 IP주소를 알려준다.

 

 

4. 다음은 마지막으로 위의 [마스터 네임 서버 구성도] 그림의 좌측 상단에 표현한

외부의 '인터넷 상에 있는 컴퓨터' 에서 ftp.john.com을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를 보자.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이 된다.

 

① 외부 인터넷상의 컴퓨터는 자신의 로컬 네임 서버(그림에는 나와있지 않다.

    그냥 '로컬 네임 서버 A'라고 부르겠다)에게 ftp.john.com의 IP주소를 의뢰한다.

 

② 로컬 네임 서버 A는 아마도 ftp.john.com의 IP주소를 모를 것이므로, 'ROOT 네임 서버'에게 의뢰

    를 할 것이다. 'ROOT 네임 서버'는 'COM 네임 서버'의 주소를 알려주며 그쪽에 의뢰하도록 한다.

 

③ 로컬 네임 서버 A는 다시 'COM 네임 서버'에게 의뢰한다.

    'COM 네임 서버'는 john.com의 도메인을 관리하는 'john.com 네임 서버'의 IP주소인  

    192.168.xxx.111을 로컬 네임 서버 A에게 알려준다.

 

로컬 네임 서버 A는 'john.com 네임 서버'인 192.168.xxx.111에게 ftp.john.com의 IP주소를

    의뢰한다.

 

⑤ 'john.com 네임 서버'는 자신의 DB에 ftp.john.com의 IP주소가 있으므로, ftp.john.com

    IP주소인 192.168.xxx.112를 알려준다.

 

⑥ 로컬 네임 서버 A는 ftp.john.com의 IP주소인 192.168.xxx.112를 인터넷 상의 컴퓨터에게

    알려준다.

 

⑦ 인터넷 상의 컴퓨터는 192.168.xxx.112 (Fedora Server(B))로 접속한다.

 

 

이렇게 자신이 별도로 관리하는 도메인이 있으며, 외부에서 자신이 관리하는 컴퓨터의 IP주소를

물어볼 때, 자신의 DB에서 찾아서 알려주는 네임 서버를 '마스터(Master) 네임 서버' 라고 부른다.

 

 

 

[실습]

Fedora Server에 john.com의 '마스터 네임 서버'를 설치하고 운영하자. 이번 실습에서 사용할

아파치 웹 서버의 설치/운영은 12장에서, FTP 서버의 설치/운영은 13장에서 자세히 해 볼 것이다.

지금은 네임 서버의 테스트를 위해서 간단히 설치하자.

 

 

 

 

0. [ Fedora Server ]

 

앞 <실습>에서 계속 이어서 실습하거나, '네임 서버 설치' 스냅샷으로 되돌려 놓는다.

 

0-1 부팅 후 root로 접속한다.

 

 

 

 

1. [ Fedora Server ]

 

웹 서버를 설정하자.

 

 

1-0 "rpm -qa httpd" 명령으로 설치되었는지 확인한다. 아마 설치가 되어 있을 것이다.

     (설치가 되어있지 않다면 "yum -y install httpd"로 설치한다)

 

 

1-1 웹 서비스(Httpd)가 작동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정지되어 있다면

"service httpd start" 명령으로 시작한다.

 

 

 

[웹 서버의 설치 및 웹 서비스 시작]

 

 

1-2 "system-config-firewall" 명령으로 신뢰하는 서비스 중에서 "WWW(HTTP)"를 체크해 준다.

 

 


[웹 서비스의 허용]

 

 

1-3 vi나 gedit로 /var/www/html/ 디렉토리에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index.html' 파일을

     새로 생성해 준다. (명령 : "vi /var/www/html/index.html")

 

 

 

[초기 웹 페이지 작성]

 

이로써 아주 간단하게 웹 서버를 구축하였다.

 

 

 

 

2. [ Fedora Server(B) ]

 

FTP 서버를 설치하고, 설정한다.

 

 

2-1 "yum -y install vsftpd" 명령으로 FTP 서버를 설치한다.

※ yum 명령을 사용할 때, 접속된 서버가 너무 느려서 다운로드 시간이 오래 걸리는 듯 하면

[Ctrl] + [C]를 한 번만 누르고 잠시 기다리면 다른 서버에 접속한다.

또는 기존에 yum을 한번이라도 실행한 적이 있다면, "yum -C -y install <패키지이름>"을 실행하면

일부 과정을 기존의 것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설치 시간이 많이 단축된다.

 

 

 

[vsftpd의 설치]

 

 

2-2 "system-config-firewall-tui" 또는 "lokkit" 명령으로

'Firewall'의 'Enable'에서 [Space]를 눌러 체크를 해제한다.

[Tab]을 눌러 <OK>로 이동한 후 [Enter]를 눌러 종료한다.

다음 나오는 경고 창에서도 <Yes>를 누른다.

이는 방화벽 기능을 끄는 것이다.

 

 

 

 

[방화벽 기능 끄기] 25 26

※ 지금과 같이 방화벽 기능을 끄는 것은 보안 측면에서는 좋지 않다.

실무에서는 <Customize>를 눌러서 필요한 포트만 열어주는 것이 좋다.

 

 

2-3 /var/ftp/ 디렉토리로 이동해서 "touch welcome.msg"를 생성하고,

welcome.msg 파일은 다음과 같이 내용을 채운 후 저장하고 닫는다.

 

 

 

[welcome.msg 파일 생성]

 

 

2-4 vi 에디터로 /etc/vsftpd/vsftpd.conf 파일을 열어서 제일 위에 다음 한 줄을 추가한 후

저장하고 닫는다.

 

banner_file=/var/ftp/welcome.msg

 

 

 

[/etc/vsftpd/vsftpd.conf 파일 편집]

 

※ 지금 한 작업은 외부에서 FTP 서버로 접속했을 때, 환영 메시지로

/ver/ftp/welcome.msg 파일의 내용을 보여주라는 의미다.

 

 

2-5 "service vsftpd start" 명령으로 FTP 서버를 시작한다.

 

 

 

 

이로써 간단히 FTP 서버를 구축하였다.

 

 

 

 

 3. [ Fedora Server ]

 

 john.com 도메인에 대한 설정을 해 준다.

 

 

3-1 vi나 gedit로 /etc/named.conf 파일을 열어서 제일 아래에 다음과 같은 내용을 추가해 준다.

(이렇게 추가한 부분을 포워드(Forward) 존 영역이라고 한다)

 

zone "john.com" IN {

type master;      

 file "jone.com.db";

}                            

※ 네임 서버는 설정 파일이 1글자라도 틀리면 데몬 자체가 가동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서 입력하기 바란다.

물론 대소문자도 모두 정확히 구분되어야 한다.

 

 

 

 

[/etc/named.conf 편집]

 

 

3-2 /var/named/chroot/var/named/ 디렉토리로 이동해서

"touch john.com.db" 명령으로 빈 파일을 생성한다.

( 파일을 포워드 존 파일 또는 정방향 영역 파일이라고 부른다)

 

 


[john.com.db 파일 생성]

 

 

3-3 에디터로 john.com.db 파일을 열어서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 글자가 틀리거나 실수를 하면 네임 서버 자체가 가동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주의하도록 한다.

 

나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작성되었다.

이것과 똑같이 페도라를 설치한 사람은 192.168.xxx.111 부분만 다를 뿐 나머지는 똑같을 것이다.

저장하고 닫는다.

 

 

 

 

[john.com.db 파일의 편집]

※ [마스터 네임 서버 구성도]의 그림에도 나와있지만, 이번 실습에서

192.168.xxx.111은 네임 서버 겸 웹 서버, 192.168.xxx.112는 FTP 서버의 역할을 할 것이다.

 

 

3-4 "service named restart" 로 네임 서비스를 재시작한다.

 

 

 

[네임 서버 서비스 재시작]

 

 

3-5 "system-config-firewall" 명령에서 '신뢰하는 서비스'에 DNS가 체크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아까 체크한 부분)

이렇게 해서 [마스터 네임 서버 구성도]의 그림과 같이 Fedora Server(B)는 FTP 서버로 구축하였고,

Fedora Server는 네임 서버 및 웹 서버 용도로 구축을 완료하였다.

이제는 Fedora Client에서 작동하는지 확인하면 된다.

 

 

 

 

 

4. [ Fedora Client ]

 

마스터 네임 서버의 정상적인 작동을 확인해 보자.

 

 

4-1 터미널에서 "cat /etc/resolv.conf" 명령으로 네임 서버가

Fedora Server인 '192.168.xxx.111'로 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앞 실습에서 이미 변경하기도 했다)

 

 

 

[네임 서버 확인]

 

 

4-2 웹 브라우저에서 www.john.com으로 접속해 보자.

이번 실습의 1-3번에서 Fedora Server에 만든 index.html 홈페이지가 열릴 것이다.

 

 

[www.john.com에 접속]

 

 

4-3 터미널에서 "ftp ftp.john.com" 명령으로 FTP 서버에 접속해 보도록 하자.

환영 메시지를 보면 우리가 Fedora Server(B)에 구축한 FTP 서버에 접속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anonymous, 암호는 아무거나 입력하면 된다)

 

 

 

[ftp.john.com에 접속]

 

ftp를 종료하려면 "bye"를 입력하면 된다.

 

 

이렇게 해서 [마스터 네임 서버 구성도]의 그림과 같은 네임 서버가 구축되었다.

 

 

 

Posted by 아이맥스